문제
셀프 넘버는 1949년 인도 수학자 D.R. Kaprekar가 이름 붙였다. 양의 정수 n에 대해서 d(n)을 n과 n의 각 자리수를 더하는 함수라고 정의하자. 예를 들어, d(75) = 75+7+5 = 87이다.
양의 정수 n이 주어졌을 때, 이 수를 시작해서 n, d(n), d(d(n)), d(d(d(n))), ...과 같은 무한 수열을 만들 수 있다.
예를 들어, 33으로 시작한다면 다음 수는 33 + 3 + 3 = 39이고, 그 다음 수는 39 + 3 + 9 = 51, 다음 수는 51 + 5 + 1 = 57이다. 이런식으로 다음과 같은 수열을 만들 수 있다.
33, 39, 51, 57, 69, 84, 96, 111, 114, 120, 123, 129, 141, ...
n을 d(n)의 생성자라고 한다. 위의 수열에서 33은 39의 생성자이고, 39는 51의 생성자, 51은 57의 생성자이다. 생성자가 한 개보다 많은 경우도 있다. 예를 들어, 101은 생성자가 2개(91과 100) 있다.
생성자가 없는 숫자를 셀프 넘버라고 한다. 100보다 작은 셀프 넘버는 총 13개가 있다. 1, 3, 5, 7, 9, 20, 31, 42, 53, 64, 75, 86, 97. 10000보다 작거나 같은 셀프 넘버를 한 줄에 하나씩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.
-
입력: 없음
-
출력: 10,000보다 작거나 같은 셀프 넘버를 한 줄에 하나씩 증가하는 순서로 출력한다.
풀이
var s: Set<Int> = []
for i in 1...10000 {
s.insert(d(i))
}
for j in 1...10000 {
if !s.contains(j) { print(j) }
}
func d(_ n:Int) -> Int {
var sum = n, now = n
while now != 0 {
sum += now%10
now /= 10
}
return sum
}
1부터 10000까지의 숫자에 각각 d(n)을 적용하여 Set에 모아둔 다음, 거기에 속하지 않는 숫자만 프린트하는 풀이.
이렇게 풀어야지 생각한 이후로 코드 쓰는 건 어렵지 않았는데, 규칙이 있을까봐서 고민을 오래했다.
다음은 그 고민의 과정.
예제 출력에 나와 있는 셀프 넘버의 예시들로 직접 계산을 해보았다.
다른 숫자들은 일부 패턴이 겹치는 것 외엔 뚜렷한 패턴이 없는데,
9에서 시작하여 d(n)을 계속 적용하면 9 -> 18 -> 27 -> 36... 계속 9의 배수가 이어진다.
즉, 9의 배수라면 셀프 넘버가 될 수 없다.
또한 9 -> 20 -> 31 -> 42 -> 53...처럼 9에서부터 11씩 더한 수는 모두 셀프 넘버이며,
예제 출력에서 9903 -> 9914 -> 9925 -> 9927 -> 9938...로 이어지는데, 9925에서 11 더했을 때 나오는 9936이 마침 또 9의 배수. 그래서 9925 다음엔 9936에서 9를 뺀 9927이 이어지고 다시 11씩 차이가 나는 것을 보고...
for i in 1...9 {
if !i.isMultiple(of: 2) { print(i) }
}
var numberNow = 9
while numberNow <= 10000 {
numberNow += 11
if numberNow % 9 != 0 {
print(numberNow)
} else {
numberNow -= 9
print(numberNow)
}
}
위의 패턴을 구현해보았지만... 시원하게 오답😅
패턴이 정말 없는 게 맞겠지..?
'Problem Solvings & Algorithm > 백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백준] 1371: 가장 많은 글자 (feat. EOF) - Swift (0) | 2021.01.24 |
---|---|
[백준] 1052: 물병 - Swift 풀이 (0) | 2021.01.10 |
[백준] 10757: 큰 수 A+B - Swift 풀이 (0) | 2021.01.10 |
[백준] 1076: 저항 - Swift (0) | 2021.01.06 |
[백준] 1009: 분산 처리 - Swift (0) | 2021.01.06 |
댓글